통상임금 계산기 바로이용하기
인스톨러에서 이번 시간에는 통상임금을 계산해보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 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한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을 말하는데요. 오늘은 그래서 아주 간단하게 통상임금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알려드릴까 합니다.
통상임금을 기반으로 야간근로, 연장근로, 휴일근로, 휴가수당등의 지급 기준이 되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번쯤은 자신의 급여를 기반으로 통상임금을 계산을 해보실 필요가 있는데요.
이제곧 연말이라 연차수당 받으시는 분들도 많으실거에요. 미리 한번 확인해보시면 좋을듯한데요.
오늘 이용해볼 사이트는 바로 유리지갑이라는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로 이동을 하시려면 검색을 하셔서 이동을 해보시면 됩니다. 간편한 계간기 몇개를 제공을 하고있어요.
오늘은 자동으로 확인해보실수 있는 임금 계산기에 대해서 안내를 해보도록 할건데요. 위에 보이시는 사이트의 우측에 보시면 다양한 메뉴들이 있을거에요.
여기에 보시면 계산기가 있을건데요. 여기에서 제가 표시해놓은 부분을 클릭을 하시면 됩니다.
통상임금 계산기 메뉴를 클릭을 하셨다면 이렇게 화면이 나오게 되어지실거에요. 화면에 보이시는것처럼 월기본급, 월수당, 1년 총상여금, 주당근무일수, 하루근무시간등의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럼 평균적인 통상임금이 나오게 되어지는데요.
임의로 입력을 해보았는데요. 이렇게 입력을 해보니 통상임금 시급은 12360원이 나왔네요. 이를 토대로 연장근무 시간이나 야간 근무시간, 그리고 주말 근무 시간등을 곱하여 수당을 계산할수가 있게되는것이죠.
연차수당의 경우는 하루 근무시간을 곱하게 되면 나오게 됩니다. 오늘은 무료 통상임금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 안내해드렸는데요.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네요.